본문 바로가기

네트워크(Network)

OSI 7계층 TCP/IP 4계층

OSI 7 계층 및 TCP/IP 4 계층


image

OSI 7 계층

  •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것
    • 계층을 나눈 이유는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수 있기 때문
  • 그림과 같이 각 계층을 지날때 마다 각 계층에서 Header가 붙게 되고 수신측은 역순으로 헤더를 분석

1계층 - 물리계층 (Physical Layer)

  • 전기적, 기계적, 기능적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 전송
    • 케이블, 리피터, 허브를 통해 데이터 전송
  • 통신 단위는 비트
  • 단지 데이터를 전달만 할뿐, 전송 또는 받는 데이터가 무엇인지는 중요하지 않다

2계층 - 데이터링크 계층 (DataLink Layer)

  • 물리계층을 통해 송수신 되는 데이터의 오류와 흐름을 관리하여 안전한 데이터의 전달을 수행
    • 통신에서의 오류도 찾고, 재전송 기능을 가지고있음
  • 맥(MAC) 주소를 가지고 통신
  • 통신 단위는 프레임
  • 브리지,스위치
    • 브릿지나 스위치를 통해 맥 주소를 가지고 물리계층에서 받은 정보 전달

3계층 -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
  • 데이터를 목적지 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(라우팅)
  • 라우터를 통해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고(IP) 경로(Route)에 따라 패킷을 전달 -> IP 헤더 붙음
  • 통신 단위 : 패킷
  • 라우터

4계층 -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
  • 통신을 활성화 하기 위한 계층
  • 포트를 열어서 응용프로그램들이 전송을 할수 있게 한다
  • Port번호, 전송방식(TCP/UDP)를 결정 -> TCP 헤더 붙음
    • TCP : 신뢰성, 연결 지향적
    • UDP : 비신뢰성, 비연결성, 실시간
  • 두 지점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 받게 해주는 역활
  • 신호를 분산하고 다시 합치는 과정을 통해서 에러와 경로를 제어
  • 통신 단위는 세그먼트 단위
  • 게이트웨이

5계층 -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
  • 주 지점 간의 프로세스 및 통신하는 호스트간의 연결 유지
  • TCP/IP 세션을 만들어 통신을 도와주고 연결을 지속시켜주는 계층
  • 메시지 단위

6계층 - 표현 계층 (Presentaiton Layer)

  • 응용 계층과 세션 계층 간 통신되는 데이터를 적합한 형태로 인코딩, 디코딩 하는 계층
  • 코드 변환, 암호화, 압축, 포맷 변환 등
  • JPEF, MPEG, GIF, ASCII 등

7계층 -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
  •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계층
  • 프로세스 간 정보 교환, 인터넷 접속, 파일 전송 등의 서비스

TCP/IP 4계층

  • OSI 7계층 보다 먼저 나온 규격이나, 현재 더 많이 활용

1계층 - 네트워크 엑세스 계층 (Network Access Layer)

  • OSI 7계층의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
  • 실제 데이터의 물리적 전송을 담당 하는 계층
  • TCP/IP 패킷을 네트워크 매체로 전달, 받아들이는 과정을 담당

2계층 - 인터넷 계층 (Internet Layer)

  • OSI 7계층의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
  • 데이터 전송을 위한 주소 지정, 경로 설정 담당

3계층 - 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

  • OSI 7계층의 전송 계층에 해당
  • TCP와 UDP를 사용하여 호스트간 신뢰성있는 통신 제공
  • IP 와 Port를 사용하여 프로세스와 통신

4계층 -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
  • OSI 7계층의 세션 계층, 표현 계층, 응용 계층에 해당
  • 사용자 정의 어플리케이션 실행

OSI 7계층 Tcp/IP 4 계층

  • OSI 7계층 모델은 컴퓨팅 시스템에 사용되는 이론적인 개념 모델이지만, TCP/IP 4계층 모델은 실제 사용되고 있는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입니다.